
한국 “항공모함 보유 선언?!”…
KF-21N VS F-35B
세계 1위 함재기의 정체

핵잠수함 이어 다시 뜨는
‘한국형 항공모함’
한국이 미국으로부터 공격형 원자력잠수함(SSN) 보유에 대한 긍정적 신호를 받고 있습니다.
만약 이는 현실화된다면, 한국 해군은 수중에서 자국 항모를 보호할 수 있는 전략적 기반을 갖추게 됩니다.
수중 핵심전력의 완성은 곧 항공모함 운용 재추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복합항모 계획의 공식화와 목적
한국 해군은 사실상 ‘복합항모’ 건조 계획을 공식화했습니다.
계획된 함정은 약 3만 톤급으로, 유·무인 전투기를 동시에 운용하며 독립 작전이 가능한 플랫폼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대만해협 긴장이 장기화될 경우 한미 연합 지원이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한국은 자국 단독으로 상륙작전과 항공전력 투사가 가능한 체계를 준비하려 합니다.

핵심 쟁점
F-35B인가, KF-21N인가
복합항모 전력의 핵심은 결국 함재기 선택에 모아집니다.
현재 경쟁 구도는 STOVL형 F-35B와 국산 KF-21N(해군형)으로 압축됩니다.

미국은 지속적으로 F-35B 추가 구매를 권유하고 있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KF-21N을 중심으로 국산 전력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내년을 “국산 전투기 자립과 미국산 무기 의존의 기로”로 보고 있습니다.

F-35B의 장단점
F-35B는 수직·단거리 이착륙(STOVL)이 가능해 경항모 운용에 유리합니다.
그러나 수직 이착륙 설계 특성상 무장·연료 탑재량이 제한되어 동일 출격에서의 항속거리·무장적재 능력이 CATOBAR형 기체보다 떨어집니다.

따라서 장거리 심층타격이나 무거운 관통탄 투하가 요구되는 임무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수직 이·착함 과정의 구조적·운용적 부담과 정비 이슈도 자주 지적됩니다.

KF-21N(국산)의 장단점
KF-21N은 중형 전투기로 설계상 무장 적재량과 항속성에서 유리할 가능성이 큽니다.
중형·중량급 기체를 전제로 항모를 설계하면 심층 표적 타격 능력과 지속작전 여건을 더 잘 확보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다만 KF-21 계열의 항모용 개수·인증, 실제 함재기 운용 경험 부족은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항모 설계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들
진정한 항모 전력은 단순히 이착륙 가능한 함정 한 척이 아닙니다.
설계 초기부터 다음 요소들을 분명히 해야 전략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1. 목표 규정
어떤 표적을 누구로 타격할 것인지
명확히 할 것.
2. 무장 기준
2,000파운드급 이상 관통탄 등
필요한 무장 탑재 가능성 확보.
3. 연료·체공 능력
장거리 정밀타격과 지속작전 보장.
4. 정비·출격 환경
소티(출격) 빈도와 정비성 개선.
5.함 규모 결정
함재기 무장·항속을 보장할 수 있는
적정 톤수(예: 6만 톤급 등) 검토.
미 해군의 경험에서도 지나치게 소형화한 경항모는 전투 지속력과 무장 탑재 능력에서 실전 운용 한계를 드러낸 바 있습니다.

승자는 정해지지 않았다
요약하면, 항모 보유를 현실로 만들려면 수중전력(예: 공격원잠) 확보와 함께 항공전력의 목적·기종·함 규모를 초기에 명확히 설계해야 합니다.
F-35B는 경항모 운용에서 장점이 크지만 무장과 항속에서 한계가 있고, KF-21N은 무장·항속 측면에서 유리할 잠재력이 있으나 실전화까지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어느 쪽이 ‘승자’인지는 한국이 항모로 무엇을 하려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단순 착륙 가능한 함정을 만드는 수준을 넘어서 심층 표적을 타격 가능한 무장·연료·정비·출격 능력을 갖춘 플랫폼을 설계해야만 항모 보유의 전략적 가치가 온전히 실현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