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배신한 인도네시아 망했다” 튀르키예 전투기 실패하자 결국 KF-21에 손 내민 굴욕


“한국 배신한 인도네시아 망했다”
튀르키예 전투기 실패하자
결국 KF-21에 손 내민 굴욕

튀르키예가 자국 최초의
5세대 스텔스 전투기라며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칸(Kaan)’ 전투기.

하지만 최근, 그 화려한 외피 뒤에
치명적인 문제가 드러나며
사실상 실패작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시제기 폐기,
그리고 개발 10년 지연 전망

튀르키예항공산업(TAI)은
최근 기존 시제기를 폐기하고
새로운 풍동(風洞) 시험 모델
공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개발 일정이 최소 10년 이상 지연될 것이라 전망합니다.

칸 전투기의 초기 시제기가
정치적 과시용 행사였다는 비판이
현실로 드러난 셈입니다.

“완성형 아닌 미완성 모델이었다”

군사 전문 매체들은
“칸 전투기는 완성형이 아닌
미완성 풍동 모델을 억지로
실기화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칸 전투기는
두 차례 시험비행 이후 1년 넘게
추가 시험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형상이 완전히 바뀐
새로운 모델이 등장했습니다.

이로써 튀르키예 스스로
초기 개발 실패를 인정한 셈입니다.

새 모델 ‘P1’, 하지만 다시 원점으로

이번에 공개된 프로토타입 P1은
기존 모델보다 1m 낮고,
60cm 짧아졌습니다.

수직꼬리날개 위치가 바뀌고
기수도 유선형으로 재설계되었지만,
전문가들은 “완성된 시제기 이후
다시 풍동 모델을 만드는 건
전례가 없다”고 평가합니다.

즉, 칸 전투기 개발은
사실상 원점으로 되돌아간 상태입니다.

내부 무장창도 ‘의혹 투성이’

튀르키예는 그동안
“세계 최초의 개발도상국형
5세대 전투기”라며
내부 무장창을 갖춘
완전형이라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내부 무장창이 완성되지 않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더욱이 튀르키예 정부가
영국과 유로파이터 타이푼
20대(약 15조 원)
구매 계약을 체결하면서
스스로 ‘칸 전투기’의 실전 가능성에
의문을 남기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결국 한국으로 돌아서다

칸 전투기의 실체가 드러나자
인도네시아의 입장이 급변했습니다.

한때 칸 도입을 확정하며
한국 KF-21의 경쟁국이었던
인도네시아는
새 풍동 모델 공개 이후
“뒤통수를 맞았다”는 평가 속에
다시 한국과 협력 복원에
나서고 있습니다.

현재는 KF-21 5호기
시제기 도입 검토까지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과거 배신, 또 반복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신뢰입니다.

인도네시아는
과거 KF-21 공동개발 당시
분담금을 미지급하고, 뒤에서는
다른 전투기 계약을 추진했습니다.

심지어 북한과 군사기술 협력 MOU를
체결하며 한국의 핵심 기술 유출
우려까지 낳았죠.

이런 전례를 고려할 때,
이번 협력 복원 역시
신중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불안한 동맹보다 확실한 기술력”

인도네시아가 빠지면 일시적으로
사업 일정은 지연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불안정한 파트너를
억지로 붙잡는다면,
향후 훨씬 더 큰 손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결국 한국이 진정한 항공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외부 동맹보다
독자적 기술력 확보에 집중해야 한다는
명확한 교훈이 남습니다.

한국 KF-21, 세계가 주목하다

현재 KF-21은
고기동 비행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치며
ADEX 2025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반면 튀르키예의 칸 전투기는
2030년대 중반 이전 실전 배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결국 ‘칸 신화’가 무너진 자리엔
한국 KF-21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