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V리포트=강해인 기자] 배우 이유미가 ‘당신이 죽였다’에서 함께한 전소니를 향한 애정을 드러냈다.
5일 서울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는 넷플릭스 시리즈 ‘당신이 죽였다’의 제작보고회가 진행됐다. 현장에는 이정림 감독과 배우 전소니, 이유미, 장승조, 이무생이 참석해 작품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
‘당신이 죽였다’는 죽거나 죽이지 않으면 벗어날 수 없는 현실 앞에서 살인을 결심한 두 여자가 예상치 못한 사건에 휘말리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았다.
이 작품은 오쿠다 히데오 작가의 ‘나오미와 가나코’를 원작으로 하고 있다. 이정림 감독은 “작가님의 오랜 팬이라 이전에 작품을 읽었다. 두 여성이 겪는 이야기에 분노했고, 이들이 나아가는 모습에 감정이 밀려왔다. 후에 영상화된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제게 기회가 오길 바랐다”라고 원작을 향한 애정을 드러냈다.
원작과 다른 제목을 가져간 것에 관해 “사실, 원작 제목을 좋아한다. 이름이 곧 그 사람의 삶을 뜻한다. 그래서 각 화에 이름을 소제목으로 가져왔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당신이 죽였다’라는 제목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누군가를 죽이는 이야기, 방관하는 이야기, 그걸 지켜보는 우리들의 이야기일 수 있다. 8부까지 다 보고 나면 이 제목에 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친구의 남편을 죽이자고 제안하는 조은수 역을 맡은 전소니는 “은수는 지켜야 하는 일상을 열심히 쌓아온 인물이다. 자기가 잘 아는 고통에 빠져있는 친구를 구해야겠다고 마음을 먹게 되는 인물이다. 캐릭터들의 선택이 보는 분들에게 설득력 있게 다가가기를 바랐다”라고 캐릭터에 관한 생각을 전했다.
조희수 역을 맡은 이유미는 “벗어날 수도 도망갈 수도 없는 삶을 포기하려고 하는 순간 은수를 만나게 되는 인물이다. 은수에게 구원을 받게 되고, 이후 많은 선택을 함께하게 된다”라고 캐릭터를 소개했다.
그러면서 “카메라 앞에 서 있는 희수를 진짜 사람처럼 보이게 하는 게 목표였다. 연약함 안에 강함이 있다. 이런 점이 은수를 만나며 어떻게 표현이 될까 고민했다”라고 캐릭터를 구축했던 과정을 돌아봤다.

‘당신이 죽였다’는 살인을 다루는 작품의 특성상 폭력적인 표현을 피할 수 없었다. 이에 이정림 감독은 “텍스트보다 시각적으로 봤을 때 충격이 크고 자극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작할 때부터 염두에 두고 있었다. 그리고 이걸 잘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부담감이 있었다”라고 고민했던 점을 털어놨다.
그리고 “신체와 신체가 닿는 순간이 거의 없게 연출했고, 전후의 상황을 보여주며 처참한 분위기로 폭력의 순간을 표현하려 했다”라고 연출할 때 주의했던 부분을 설명했다.
작품의 무거운 분위기와 달리 은수 역의 전소니와 희수 역의 이유미는 현장에서 따뜻한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전소니는 “이유미가 굉장히 건강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이었다. 그런 분위기가 제게 좋은 영향을 끼쳐 작업할 때 든든했다. 은수가 희수에게 가지는 마음에 이입하는 데 다른 노력이 필요하지 않았다”라고 이유미와 함께한 소감을 밝혔다.

이유미는 “전소니는 처음 봤을 때부터 따뜻한 사람이라는 게 느껴졌다. 빨리 친해지고 싶었고, 촬영 때 대화를 많이 나눴다. 많은 질문을 쏟아내며 서로를 알아갔다. 현장에서 만나면 너무 재미있었고, 같이 뭔가를 해나가는 것 자체가 즐겁고 행복했다”라고 이유미에게 고마움을 표했다.
작품의 매력을 꼽아달라는 말에 전소니는 “쫄깃함이 있다. 회차별로 시청을 끊을 수 없게 하는 엔딩이 있다. 인물들이 어디로 가게 될지 궁금해하며 보게 하는 힘이 있다. 그리고 제가 주짓수를 열심히 연습했다”라며 액션을 향한 기대감을 높였다.
한편, 이번 작품에서 폭력적인 악역을 진표 역을 맡은 장승조는 자신의 캐릭터에 관해 “대본에서 진표 부분을 볼 때 스마트 워치로 스트레스 지수를 봤는데 늘 100이 넘었다. 매일 체크해 보면 진표를 볼 때 스트레스 지수가 계속 높았다”라고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털어놨다.
옆에 있던 이무생은 공감하며 “대본을 덮게 되는 캐릭터였다. 오래 보면 안 될 거 같은데, 그렇다고 안 보면 작품의 진행이 안된다”라고 웃으며 말했다.

장승조는 “폭력성을 가진 인물을 표현한다는 것보다 작품 속 두 여성을 구해주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그 마음이 폭력성을 가진 인물을 표현해야 한다는 부담감 보다 앞섰다. 드라마가 가진 긴장감을 위해 필요한 인물이라, 욕심을 가지고 임했다”라고 역할에 끌렸던 이유를 공유했다.
‘당신이 죽였다’는 이번 달 7일 넷플릭스에서 만날 수 있다.
강해인 기자 [email protected] / 사진= 오민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