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너무 아깝다.. “일 안하고 집에서 노는 청년들이” 부정적으로 실업급여 타먹는 방법


“일 안 해도 230억 원?”…퇴사만 21번, 새는 실업급여 ‘달콤한 시럽’의 민낯

도입부

“이렇게 받는 게 불법이 아니에요?”

최근 감사원 발표에 따르면, 한 사람이 무려 21번을 퇴사하며 실업급여를 반복 수령한 사례가 드러났습니다.

이른바 ‘실업급여 시럽족(시럽=실업)’이라 불리는 이들입니다.

실업급여 제도는 본래 일자리를 잃은 근로자의 생계를 보호하기 위한 사회안전망이지만,

일부 악용 사례로 인해 국민 세금이 줄줄 새고 있습니다.

감사원 조사 결과, 최근 5년간 부정 수급 금액만 230억 원에 달하며,

일부는 기업과 근로자가 짜고 실업급여를 나눠먹는 **‘가짜 퇴사 공모’**까지 벌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오늘은 이른바 ‘달콤한 시럽’으로 불리는 실업급여 남용 실태,

그 구조와 문제점, 그리고 정부가 내놓은 대책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본론① : 실업급여란 무엇인가? — 원래는 좋은 제도였다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실직했을 때 일정 기간 동안 생계비를 지원받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갑작스러운 실직으로 생계가 막막한 사람에게 재취업할 시간을 주는 제도죠.

지급 대상 : 고용보험 가입자 중 180일 이상 근무 후 비자발적 실직자

지급 금액 :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 수준

지급 기간 : 근속 연수에 따라 90일~270일

즉, 실직자의 ‘재취업 다리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사회보장 장치입니다.

하지만, 제도의 허점을 악용하면 **“일은 안 하고, 퇴사만 반복하면서 돈을 받는 구조”**가 가능해집니다.

본론② : 퇴사만 21번, 총 230억 원이 새나갔다 — 감사원 감사 결과 요약

감사원이 고용노동부를 상대로 실시한 실업급여 지급 실태 점검 결과는 충격적이었습니다.

최근 5년간 부정수급자 2만7천여 명,

이들이 받아간 부당 실업급여 금액은 약 230억 원.

그중 일부는

고용주와 근로자가 짜고 ‘가짜 해고서류’를 제출,

근로자는 실업급여를 수령 후 곧바로 재취업,

일정 금액을 고용주에게 되돌려주는 방식으로 **‘나눠먹기식 범죄’**가 이루어졌습니다.

심지어 퇴사와 재취업을 20회 이상 반복하며 매번 실업급여를 받은 사람도 있었고,

허위 구직활동 서류를 제출해 수개월 동안 돈을 받아낸 사례도 확인됐습니다.

본론③ : 악용 구조 — “실업급여는 쉽게 받고, 적발은 어렵다”

실업급여 제도는 기본적으로 ‘신뢰’를 바탕으로 설계돼 있습니다.

하지만 그 신뢰가 감시의 사각지대가 되었습니다.

‘형식적 퇴사’로 위장

회사와 근로자가 합의해 ‘해고 처리’ 후 실업급여를 신청하고,

몇 달 뒤 다시 같은 회사로 복귀하는 방식.

특히 소규모 사업장이나 가족기업에서 흔한 유형입니다.

허위 구직활동 증명

고용센터에 구직활동 내역을 증명해야 하지만,

실제 면접 없이 서류만 제출해도 통과되는 허점이 존재.

‘파견직-단기직’ 악용 루프

단기 아르바이트나 계약직을 반복하며,

실업급여 수급 자격을 계속 새로 갱신하는 구조.

적발 어려움

실업급여 지급은 대부분 자동화 시스템으로 이뤄지고,

실시간으로 ‘허위 퇴사’를 판별할 수 있는 데이터 연계가 부족합니다.

이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실업급여가 두 번째 월급”**이라며 공개적으로 이야기하기도 했습니다.

본론④ : 제도 남용의 현실적 피해 — 진짜 실업자는 울고 있다

문제는 이런 부정 수급이 결국 정상적인 실업자에게 피해로 돌아간다는 것입니다.

제도 신뢰 하락

일부의 악용으로 인해 진짜 구직자들이 ‘의심의 눈초리’를 받습니다.

재정 누수

230억 원은 단순 수치가 아닙니다.

이는 매달 성실히 고용보험료를 내는 근로자들의 세금입니다.

정책 집중력 분산

부정 수급 단속에 인력이 투입되면서,

정작 재취업 지원이나 직업훈련 예산이 줄어드는 악순환이 발생합니다.

본론⑤ : 정부의 대응 — “부정수급, 3배 환수·형사처벌 강화”

정부는 이번 사태 이후 실업급여 제도 전면 손질에 나섰습니다.

부정수급 금액 3배까지 환수

기존에는 부당수급액 + 이자만 환수했지만,

앞으로는 최대 3배까지 징벌적 환수 가능.

형사처벌 강화

고용주와 근로자가 공모한 경우 최대 징역 5년 또는 벌금 5천만 원.

데이터 연계 강화

국민연금·건강보험·근로복지공단과 연계해

동일 사업장 재취업, 허위 퇴사 여부를 실시간 추적.

‘AI 탐지시스템’ 도입 예정

반복 퇴사, 단기 근무 패턴을 자동 분석해

의심 계정을 사전에 차단하는 시스템 구축 중.

정부는 “실업급여를 악용하는 사람은 공적제도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범죄자”라며

“상시 감시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본론⑥ : 그래도 필요한 제도 — ‘폐지가 아니라 정비가 답이다’

실업급여 제도가 이렇게 논란이 많아도,

이 제도는 여전히 필수적 복지 제도입니다.

코로나 이후 경기침체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에게

실업급여는 생계유지의 마지막 버팀목이 되었습니다.

OECD 주요국과 비교해도 한국의 실업급여 지급 수준은 여전히 낮습니다.

(한국: 평균임금의 60% / OECD 평균: 70~80%)

따라서 중요한 건 제도를 없애는 게 아니라,

‘누가 진짜 수혜자이고 누가 악용자인가’를 구분할 정밀한 시스템을 만드는 것입니다.

본론⑦ : 우리가 할 수 있는 실천 — 신고와 감시가 제도를 지킨다

실업급여 부정수급은 남의 일이 아닙니다.

모두가 조금만 방관하면 제도는 무너집니다.

의심 사례 발견 시 신고

: 고용노동부 부정수급 신고센터 (국번 없이 1350)

실업급여 수급 시 주의사항 숙지

: 재취업 시 즉시 신고, 허위 구직활동 금지

고용보험 납부 내역 정기 확인

: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내 납부·수급 이력 확인 가능

한 사람의 부정수급이 전체 근로자의 부담으로 돌아온다는 사실,

잊지 말아야 합니다.

요약본

최근 감사 결과, 한 개인이 21번 퇴사하며 실업급여를 반복 수령,

최근 5년간 부정수급액만 23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주요 수법은 가짜 퇴사, 허위 구직활동, 반복 단기 근무,

사업주와의 공모까지 확인되었습니다.

정부는 3배 환수·AI 탐지 시스템 도입 등 대대적인 대책을 시행 중입니다.

실업급여는 여전히 중요한 복지 제도이며, 폐지가 아닌 정비가 필요합니다.

국민 모두의 관심과 신고가 공정한 제도를 지키는 첫걸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