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진 기어 넣었다가 미션 터진다?
러시아, T-90M 전차 치명적 결함
수정한 ‘M2’ 양산 선언!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실제 운용된
러시아의 주력 전차 T-90M이
후진 기어 작동 중 변속기가 터지는
치명적인 결함을 드러낸 가운데,
러시아가 이를 전면 개량한
새로운 모델 T-90M2의 설계를
확정하고 2026년부터 본격 생산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이 전차는 기존 T-90M의 기술적
문제점을 보완한 모델로, 변속기 교체,
사격 통제 장비 현대화, 그리고
차세대 능동방어 시스템 ‘아레나-M’
장착이 주요 특징입니다.
하지만 과연 러시아가 이를 계획대로
대량 생산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T-90M2는 전쟁 초기부터 제기된
기존 T-90M의 후진 기어 문제.
즉, 후진 시 기어가 터지며 전차가
완전히 정지 상태에 빠지는 구조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신형 변속기로
교체됩니다.

이 외에도 아날로그 기반이던
내부 디스플레이와 사격 통제 시스템은
디지털 기반 장비로 전면 개량되며,
탑재되는 능동 방어 장치 ‘아레나’
역시 최신형인 ‘아레나-M’으로
업그레이드됩니다.
이는 우크라이나에서 효과를 입증한
대전차 무기들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러시아 국방부는 기존 T-90M
차량들도 M2 사양으로 점진적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그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방의
강도 높은 수출 통제로 인해 러시아는
전자 부품, 반도체, 열화상 센서 등
핵심 부품의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런 첨단 장비들이 탑재된 전차의
대량 생산은 말 그대로
“계획은 계획이고, 현실은 현실”
이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러시아는 전쟁 초반부터
자국 방산 산업의 전자·광학 부품
부족으로 인해 최신 장비보다
오히려 구형 전차나 장갑차를
전선에 투입하는 상황을 반복해
왔으며, 지금도 수입 부품을 대체할
국산 기술 확보에는 여전히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편, 전문가들은 T-90M2의 개량
포인트 자체는 실전 데이터를 반영한 ‘의미 있는 진화’로 평가하면서도,
“현시점에서 러시아가 실제 전장에서
이런 전차를 수백 대 이상 운용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
”라고 지적합니다.

무엇보다 대규모 전자장비를 장착한
현대식 전차의 대량 생산은 단순한
조립이 아닌 정밀 기술과 안정적
부품 수급이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T-90M2가 러시아 육군의
새로운 주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아니면 그저 설계도면에서 끝나는
‘희망 사항’으로 남게 될지는
전장에서 그 실체가 드러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