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체불만 58억” 275명 월급도 못 주고 있어 비상이라는 이 ‘기업’


부산 배터리기업 ‘금양’ 임금체불 사태, 58억 넘겼다

국내 배터리 산업에서 한때 혁신기업으로 주목받던 부산의 금양이 2025년 대규모 임금체불 사태에 휩싸였다. 미지급 임금과 퇴직금 등 체불액은 10월 기준 58억 원을 넘겼으며, 피해 근로자는 공식 집계만 275명에 달한다. 경영 위기와 자금난이 장기화되면서 근로자들은 극심한 생계 불안을 겪고 있다.

유상증자 연기와 경영진 책임론

금양은 경영 정상화를 위해 4,05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했으나, 투자금 납입은 연이어 4차례나 미뤄졌다. 회사 측의 유상증자 계획은 8월, 9월, 11월로 차례차례 연기되어 현금 흐름이 말라붙은 상황이다. 류광지 대표이사는 임금체불 책임으로 노동청에 입건돼 10월 중순 피의자 신문을 받았다.

임금 못 받은 근로자 275명, 생계 위기

275명 근로자 중 상당수는 몇 달째 월급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자금난으로 퇴직금 미지급액도 3억 5,700만 원에 달하고, 비공식적으로 추가 임금 체불 피해자까지 늘어나고 있다. 생활이 어려워진 근로자 210명에게는 정부가 총 21억 원의 생계비 융자를 긴급 지원 중이지만, 극심한 생활고를 호소하는 가정도 속출한다.

노동청·정부 조사와 강도 높은 사법조치

부산북부고용노동지청은 임금체불 신고가 이례적으로 급증함에 따라 직권조사와 경영진 소환, 회사 계좌 추적 등 전방위적인 조치에 착수했다. 15~16일에는 대표이사 직접 신문이 진행됐고, 압수수색 및 자금 유용 여부 조사도 병행 중이다. 노동청은 시정조치를 여러 차례 내렸으나 이행되지 않아 피의자 입건으로 수사가 확대됐다.

금양의 신뢰도 추락과 산업계 ‘비상’

금양은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경영위기 징후를 보였다. 유상증자 실패, 불성실 공시, ‘감사의견 거절’로 상장폐지 위기에까지 놓이며 투자자와 산업계는 불신을 드러냈다. 회사는 불성실 공시법인으로 지정됐고, 상장폐지 이의 신청서를 제출하며 벼랑 끝에 몰려 있다.

피해 근로자 “더 이상 버틸 힘 없어”

장기화되는 임금 체불 사태로 많은 근로자들은 생계뿐만 아니라 심리적 부담도 크다고 호소한다. 일부는 다른 일자리를 찾기도 하지만, 미지급 임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회사를 떠나야 했다. 노동계와 지역사회는 정부 차원의 신속한 대책 마련과 경영진의 책임 있는 태도를 요구하고 있다.

금양 사태가 주는 교훈

고성장·고위험 구조의 배터리 산업 특성과 경영진의 책임 미흡이 맞물리며, 부산 지역 배터리 산업 전반에 경고등이 켜졌다. ‘혁신벤처’라는 타이틀에서 한순간에 투자자·근로자 모두에 신뢰를 잃은 이번 사태는, 자금 의존적 사업구조와 투명경영의 중요성을 다시 일깨웠다. 업계는 이번 임금체불 사태가 단순 기업 위기를 넘어, 산업 신뢰도와 지역경제 전반에 미칠 파장을 우려하고 있다.